Spring
-
Step1-3. 빌드 후 백그라운드 실행이 되지 않아 외우게 된 명령어Spring/mini Project 2024. 2. 8. 11:21
지금 문제점은 빌드 후 포그라운드에서는 정상 실행이 되지만 백그라운드 실행 시 연결이 되지 않는것이다. 이를 위해 Ubuntu에서 포트번호와 pid값을 자주 찾게 되어 외우게 되었다. Execute Shell #!/bin/bash jar_file="demo/target/demo-0.0.1-SNAPSHOT.jar" pid=$(pgrep -f "demo-0.0.1-SNAPSHOT.jar") if [ -n "$pid" ]; then kill -9 $pid echo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종료했습니다." else echo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없습니다." fi if [ -f "$jar_file" ]; then nohup java -jar $jar_file & echo "새로운 JAR 파일을 실행했습니다." e..
-
Step1-2. EC2 프리티어 Jenkins 서버 터지는 현상 해결Spring/mini Project 2024. 2. 7. 15:38
CI / CD를 연습하기 위해 Jenkins에 대해 공부를 시작했는데 빌드시 서버가 터지는 일이 너무 많아서 매번 EC2 인스턴스를 중지하고 다시 실해을 매번 반복하다 Swap이라는것을 알게되었다. 이를 적용해보니 실제로 서버가 터지는 현상이 없어졌다. 스왑 파일을 사용하여 Amazon EC2 인스턴스의 스왑 공간으로 메모리 할당 Amazon Elastic Compute Cloud(Amazon EC2) 인스턴스에서 스왑 파일로 사용할 메모리를 할당하려고 합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repost.aws 1. Create Swap File dd 명령을 통해 Root 파일 시스템에 Swap File을 생성한다. bs 명령어 : 블록의 크기 count 명령어 : 블록의 수 아래의 Swap File은 약 4GB..
-
Step1-1. Jenkins에서 GitHub Webhook 사용 및 실행Spring/mini Project 2024. 2. 6. 16:59
EC2에서 Jenkins 설치 및 Maven Project 빌드하기 Step1. Jenkins 설치 후 프로젝트 Build 및 Start Step 1의 목표 1. AWS에서 EC2 인스턴스를 프리티어로 하나 생성한다. 2. Ubuntu 환경에서 Jenkins를 설치한다. 3. 자신의 Git Repository에 있는 Sptring Boot 프로젝트를 Clone한다. 4. Jenkins를 이용하여 Build 한다. jangto.tistory.com Git Hub에서 WebHook 설정하기 Jenkins에서 설정한 Repository에서 Settings > Webhooks를 선택한 후 Add webhook을 통해 webhook을 설정할 수 있다. Payload URL : [EC2 Public IP]:[Jen..
-
Step1. Jenkins 설치 후 프로젝트 Build 및 StartSpring/mini Project 2024. 2. 6. 01:27
Step 1의 목표 1. AWS에서 EC2 인스턴스를 프리티어로 하나 생성한다. 2. Ubuntu 환경에서 Jenkins를 설치한다. 3. 자신의 Git Repository에 있는 Sptring Boot 프로젝트를 Clone한다. 4. Jenkins를 이용하여 Build 한다. 5. Jar 파일을 실행시킨다. 인스턴스 생성 및 연결 AWS에서 EC2 인스턴스를 Ubuntu 환경으로 생성 후 SSH를 통해 연결하였다. Ubuntu 환경에서 Jenkins를 설치 Jenkins 공식 홈페이지에 친절하게 다운로드 받는 방법이 명시되어 있다. Jenkins 포트번호 변경 및 접속 $ sudo vim /lib/systemd/system/jenkins.service # Port to listen on for HTTP..
-
JPA 연관 관계 매핑 - startSpring/JPA 2024. 1. 14. 21:38
JPA에서 연관 관계 매핑에 대해 쉬운 이해를 하기 위해서는 객체와 테이블의 연관 관계의 차이를 이해해야한다. 객체를 테이블에 맞추어 그대로 모델링 한다면 객체 간 협력 관계를 만들 수 없게 된다. 테이블은 외래키(FK)로 조인하여 연관 된 테이블을 찾을 수 있지만 객체는 참조를 통해 연관된 객체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아래는 Member 테이블과 Team 테이블이 N:1관계일때 Entity를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에 대해 작성하였다. Member 테이블은 Team 테이블의 Id값을 외래키(FK)로 가지고 있다. // 객체를 테이블에 맞추어 데이터 중심으로 모델링 한 경우 @Entity public class Team{ @Id @Column(name = "TEAM_ID") private Long id; ..
-
JPA 기본키 매핑Spring/JPA 2024. 1. 12. 17:20
JPA에서 기본키를 매핑하는 방법은 @Id, @GeneratedValue 이렇게 두가지가 있다. @Id의 경우 직접 할당 하겠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별다른 내용이 없다. 매핑 방법 @GeneratedValue는 자동 생성을 해주는 것이다. SEQUENCE : DB의 시퀀스 사용 ORACLE의 경우 @SequenceGenerator가 필요하다. IDENTITY : DB에 위임 TABLE : 키 생성용 테이블을 만들어서 사용한다. @TableGenerator가 필요하다. 장점으로는 모든 DB에서 공통적으로 사용가능하다. 단점은 테이블이 생겨나기 때문에 추후 성능에 좋지 않다. AUTO : Hibernate에서 지정한 방언에 따라 자동으로 지정된다. (기본값) IDENTITY 전략 - 매핑 이 전략은 기본 키 ..
-
JPA 엔티티 매핑Spring/JPA 2024. 1. 2. 23:35
매핑의 소개 1. 객체와 테이블 매핑 : @Entity, @Table 2. 필드와 컬럼 매핑 : @Column 3. 기본 키 매핑 : @Id 4. 연관 관계 매핑 : @ManyToOne, @JoinColumn @Entity JPA가 관리할 수 있도록 지정해 주는 어노테이션이다. JPA를 사용해서 테이블과 매핑할 클래스는 필수로 작성해줘야 한다. 주의 사항 1. JPA를 사용해서 테이블과 매핑할 클래스는 기본 생성자가 필수로 존재해야한다. 2. 필드에 final 클래스, interface, inner클래스는 사용하지 말아야한다. 3. 저장할 필드에 final 사용을 하면 안된다. @Table 엔티티와 매핑할 테이블에 관련된 옵션을 지정할 수 있다. 1. name : 매핑할 테이블의 이름 지정 (기본값 : ..
-
JPA에서 batch_size를 지정하는 이유는?Spring/JPA 2024. 1. 2. 23:09
JPA에서 flush 함수가 호출되면 쓰기 지연 SQL 저장소에 쌓여있는 쿼리가 DB 날아간다. 하지만 이때 마법같이 쌓여있던 쿼리가 한번의 요청으로 DB로 날아가지는 않는다. 만약 batch_size를 지정하지 않는다면 쌓여있는 개수만큼 DB와의 네트워크 통신을 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batch_size를 지정한다면 쌓여있는 개수 중에 batch_size만큼 묶어서 쿼리를 날리기 때문에 한번의 네트워크 통신의 횟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batch_size를 지정하지 않는다면 쓰기 지연 SQL 저장소를 사용되는 의미가 없어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