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ash Algorithm] 해시 길이 정리 (MD5, SHA-1, SHA-256, SHA-512)Hacking/개념 및 이론 2025. 5. 26. 12:22728x90반응형
해킹/보안 공부나 인증 시스템 구현 시 자주 접하게 되는 해시 알고리즘의 해시 문자열(16진수)의 길이만 보고 어떤 알고리즘이 사용되었는지 추측할 수 있기 때문에 아래 내용을 정리해두었습니다.
알고리즘 종류 비트 수 16 진수 길이 Base 64 길이 MD5 128 bit 32 22 SHA-1 160 bit 40 27 SHA-256 256 bit 64 43 SHA-512 512 bit 128 86
Salt 없는 Hash를 Crack하는 대표적인 방법
1. 사전 공격 (Dictionary Attack)
미리 준비한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비밀번호(평문) 목록을 가지고 공격 시점에서 각 평문을 해시화하여 대상 해시와 비교하는 방식입니다.
- 구현이 단순하고 메모리 사용량이 적습니다.
- 사전에 잘 준비된 리스트일 경우 매우 빠르게 동작합니다.
- 목록에 없는 경우는 절대 찾을 수 없습니다.
2. 무차별 대입 공격 (Brute Force Attack)
가능한 모든 문자 조합을 하나씩 해시화해서 대상 해시와 비교하는 방식입니다.
- 이론적으로 모든 해시를 Crack 할 수 있습니다.
- 시간과 연산 비용이 매우 크기 때문에 사실 상 불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728x90반응형'Hacking > 개념 및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Fi 접속 시 DHCP 작동 원리와 OSI 7계층 흐름 (0) 2025.07.17 Port 53에서 시작되는 은밀한 통신 DNS 이야기 (0) 2025.07.02 [웹 보안의 기초 정리] Cookie, SameSite, CORS, ACAO (2) 2025.06.23 [A03:2021 – Injection] SSTI (Server Side Template Injection) 취약점 분석 (0) 2025.05.25